티스토리 뷰

건강정보

이런경우라면 폐렴증상을 의심해보세요

행복을꿈꾸는사람들 2017. 1. 13. 16:50

저도 고등학교 시절에 폐렴을 앓은적이 있습니다.

심한 케이스는 아니여서 통원치료를 받았는데, 수업시간에 숨을 못쉴정도였다는 기억은 지금도 생생합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혹은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해 감염됨으로써 발생하는 폐의 염증입니다.



폐렴의 원인

1.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세균, 바이러스 곰팡이(드문사례임)

2.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등에 의한 비감염성 폐렴



폐렴증상

1. 폐증상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곤합니다.

가래는 끈적하고 고름 같은 모양으로 나올 수도 있구요, 피가 묻어 나오기도 합답니다.

폐를 둘러싸는 흉막에까지 염증이 침범한 경우는 숨쉼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호흡기 이외에 소화기 증상, 쉽게 이야기하면 구역질, 구토, 설사의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신체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신 질환의 반응에 의해 보통 열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할 경우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폐렴증상의 진단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이 있다면 폐렴을 의심해 봐야합니다.

진단하는 방법은 가슴 방사선 촬영을 통해 페의 변화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원인균진단은 쉽지는 않지만 가래를 받아 원인균을 진단하기도 합니다.



페렴 치료방법

원인균에 따른 치료를 하며, 항생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그러나 증세가 심한경우에는 적절한 항생제를 쓰더라도 계속 병이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폐렴의 경우 세균성 폐렴으로 가정하고 경험적인 항생제 치료를 하는게 우선입니다.

그리고 원인 미생물이 밝혀지면 그에 적합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폐렴은 증상 발생 초기에는 항바이러스제의 효과가 있으나 시일이 경과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기때문에 초기에 치료를 받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폐렴의 경과

폐렴의 경우 매우 다양한 경과를 가지게 되는데요, 사람마다 기본건강상태, 폐렴의 원인균 등에 따라 경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합병증

1. 폐렴이 진행하여 패혈증 혹은 쇼크가 발생

2. 폐의 부분적인 합병증으로는 기류나 기흉, 폐농양 등이 동반





폐렴의 예방방법

독감이나 페렴구균에 의한 폐렴은 예방을 위한 백신이 존재합니다.

폐렴구균 백신의 경우는 폐렴을 완전희 방어해 주지는 못하지만 심각한 폐렴 국균 감염증을 주여주는대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꼭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